록키(Rocky) - 참고 : Columbia Icefield & Snow Dome
- 캐나다 여행
- 2024. 2. 11.
■ Columbia Icefield
Columbia Icefield는 캐나다 록키산맥 중에서 특히 만년설이 가득한 곳으로 BC주와 Alberta주 사이, Jasper 국립공원의 끝자락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지역에는 Mt Columbia (해발 3,747, Alberta주 최고) , Mt Athabasca (해발 3,491m) , Mt Kitchner (해발 3,238m), Mt Andromeda (해발 3,212m) 등의 큰 봉우리들이 즐비하다.
빙하는 많은 눈이 내리고 녹아내리는 곳에서 생기는데, 이런 눈이 녹지 않고 계속 쌓여 압력을 받으면 얼음의 형질이 바뀌며 빙하로 변하게 된다. 빗물이 한곳에 보여 호수가 되듯이 이 빙하도 호수처럼 높은 산들 사이 한가운 데로 쌓이게 된다. Columbia Icefield도 매년 약 7m 정도의 눈이 내리고 이렇게 내린 눈이 쌓여 빙하가 되었고, 현재처럼 주변 높은 봉우리들 사이에서 약 200 제곱 km 규모의 엄청난 빙하지대로 발달하게 되었다.
이 빙하들이 흘러내린 곳(Toe라고 표현)이 6곳 정도 있고, 이 중 사람들이 쉽게 접근 가능한 곳이 Athabasca Glacier Toe다. Columbia Icefield의 빙하가 Athabasca Glacier로 흘러내리는데 150년이 걸린다고 한다.
■ Snow Dome
특히 Columbia Icefield의 가운데 있는 Snow Dome이라는 봉우리 (해발 3,460m)는 3개의 큰 물줄기의 원천이 되는 봉우리다. Snow Dome의 위치는 빙하체험을 시작하는 Columbia Icefield Discovery Center에서 빙하쪽을 볼 때 큰 빙하(Athabasca Glacier)와 그 옆 작은 빙하 (Dome Glacier) 사이 쪽 방향에 있다.
Discovery Center 뒤쪽에 조금 높은 곳에 위치한 Wilcox Trail에서 바라보면 좀더 뚜렷하게 Snow Dome 봉우리를 볼 수 있다. 아래 사진에서 딱 가운데 있는 또렷하게 보이는 봉우리는 특별한 이름이 없다. 그 뒤 약간 오른쪽 봉우리가 Snow Dome이다.
▷ Triple Continental Divide
Snow Dome 에서 출발하는 작은 개울은 각각 Saskachiwan River, Athabasca River, Columbia River라는 큰 강을 만들어낸다.
- Saskachiwan River : 동쪽방향으로 흘러 중부 프레리 지역을 통과한 뒤 Hudson Bay로 나간다.
- Athabasca River : 북쪽방향으로 흘러 북극해로 나간다.
- Columbia River : 남쪽방향으로 흘러 미국 워싱턴주와 오레건주를 지나 태평양으로 나간다.
이렇게 각각 강을 기준으로 북서쪽 북미대륙을 다시 3개의 세부 대륙으로 나눌 수 있기에 Snow Dome을 Triple Continental Divide의 축이라고 부른다. 대륙을 구분하는 기준이 록키산맥이라는 큰 산줄기일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물줄기를 기준으로 대륙을 구분한다.
이제 Snow Dome의 지정학적 의미를 알았으니 한 번 더 주의깊게 봐주면 좋지 않을까...
※ Snow Dome의 위치
'캐나다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록키(Rocky) - Icefields Pkwy : 5 Mistaya Canyon & Waterfowl Lake (1) | 2024.02.12 |
---|---|
록키(Rocky) - Icefields Pkwy : 4 Big bend, Crossing 외 (1) | 2024.02.12 |
록키(Rocky) - Icefields Pkwy 3 : SkyWalk (1) | 2024.02.11 |
록키(Rocky) - Icefields Pkwy 2 : Ice Explorer 빙하 체험 (0) | 2024.02.09 |
록키(Rocky) - Icefields Pkwy 1 : Athabasca Falls (0) | 2024.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