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역사 : ⑨ 연방 탄생 후 원주민들 삶의 변화 (1870년대~)

철도가 가져온 변화

캐나다가 연방국가로 재탄생하면서 이제 본격적인 서부개척의 역사가 진행된다. 미국에서 진행되었던 서부개척의 역사와 유사하게 이제 동부 지역에 있던 많은 영국계, 프랑스계, 미국계 정착민들이 더 좋은 거주지를 찾아 서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철도는 경제적 측면에서 볼 때 무역거래를 좀더 활발히 만들어줬고, 지방 도시들은 더욱 성장하게 만들어줬으며, 사람들은 더 많은 일을 찾을 수 있었다. 이제 사람들은 여행할 때도 더 적은 시간으로 갈 수 있게 되었다. 예를 들어 예전에는 토론토에서 밴쿠버까지 가려면 석달이 걸렸지만 이제는 1~2일 정도면 갈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훨씬 멀리까지 일하러 갈 수도 있었다. 당연히 많은 사람들이 동부지역에서 중부지역과 서부지역으로 이주하기 시작했다. 

↑ 더 좋은 농사를 위한 열차~~↑ 기차는 언제나 도시에 활력을 전해준다


철도는 이와 함께 예상치 못했던 문제도 일으킨다. 식민지들이 철도 공사로 막대한 빚을 가지게 되면서 이를 탕감하기 위해서 캐나다 연방에 가입하게 되었는데, 캐나다 연방이라 하더라도 돈이 넘치는 정부가 아니었다. 


재정 확충을 위해서는 어쩔 수 없이 세금을 높여야 하고 이제 캐나다 사람들은 주정부에 내는 세금 외에 연방정부에 내는 세금까지 내야 되었다. 당연히 각 주마다 불만의 목소리가 높을 수 밖에 없었다. 


First Nations 터전 파괴와 이를 위한 보호 조약

또한 새로운 이주민들이 안정적으로 정착하기 위해서, 또 기존 시민들의 불만을 잠재우기 위해서 어쩔 수 없이 First Nations과 Metis들의 땅을 침해할 수 밖에 없었고 이것은 다시 그들의 삶을 파괴할 수 밖에 없었다. 


이들의 주요 식량이자 모피 거래의 원천인 버팔로과 바이슨 같은 들소 수백만마리가 새로운 이주해온 정착민들에 의해 사냥되어 처분되었다. 그 많던 버팔로가 겨우 몇 백 마리만 남아 멸종위기 동물이 될 정도였으니 얼마나 잡아 죽였는지 상상이 된다. 

↑ 이 많은 뼈들이 모두 바이슨의 두개골이다↑ 얘네들이 얼마나 크냐하면... 이 정도다..


이렇게 원주민들의 삶이 파괴되자 캐나다 연방정부에서는 First Nation 지도자와 협의를 해서 First Nation을 위한 보호 조약 Treaty를 만들게 된다. 1871년 Treaty 1번부터 1921년 Treaty 11번까지 지역에 따라 순차적으로 조약 체결이 이루어졌고, First Nations 원주민들은 보호구역에서 영토, 돈, 여러 도구들, 사냥할 권리 등을 받게 되었다. 


하지만 자신들의 원래 터전이 아니라 반대편에 보호구역이 설정되는 등 결코 원주민들에게 유리하게 만들어졌을리 없었다. 그럼에도 이곳의 혹독한 겨울을 보내야될 상황에 그 어떤 도구도 없이 굶어 죽는 것보다는 낫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대부분의 First Nations 원주민들은 동의하게 된다. (물론 몇몇 First Nation 지도자들은 협의보다 투쟁의 길을 걷기도 했다)

↑ First Nations을 위한 보호 조약 체결 장면↑ 연도별 보호조약 체결, 총 1번부터 11번까지 있다.


최악의 동화정책인 기숙학교(Residential School)

이 조약에서 특히 중요한 부분이 원주민 동화 Assimilation정책인데, 원주민들을 유럽 이민자들의 우월한(?) 문화에 동화되도록 강제로 영어를 쓰고, 원주민들의 전통적 풍습, 의식을 금지시킨 것이다. 이와 함께 1883년부터 4세부터 원주민 아이들은 그들 부모를 떠나 강제로 기숙 학교 Residential School에 다녀야만 했다. 

↑ Thomas Moore의 기숙학교 입학 후 변화 모습↑ 갑작스런 기독교 문화에 적응해야만 하는 원주민 아이들


대부분의 기숙학교는 종교 집단에서 관리되었는데, 종교적 관용을 바탕으로 아주 잘 교육을 시킨 것이 아니라 열악한 시절에서, 자신들의 언어를 사용하지도 못하고, 폭력과 성적 학대를 받으며 백인 사회에 동화가 아니라 어느 사회에서도 살아갈 수 없게 만들어버렸다. 

↑ 조금이라도 잘못된 행동을 하면 가혹한 체벌이 진행되었다↑ 원주민 아이들의 고통을 표현하는 그림


1993년에 노바 스코시아 주의 Mikmaq First Nation 출신의 버나드 여사가 이 기숙학교에 재학시 신체적, 정신적, 성적 학대를 받았다고 주장하는 7만명을 대표해서 캐나다 정부와 당시 학교를 운영했던 4개 종교단체를 대상으로 손해 배상 청구 소송을 진행하였다. 


이 소송의 영향으로 기숙학교들은 그 문제점들이 드러나며 1996년 모두 문을 닫았고 2005년에는 최종 승소 판결을 받아 50억 달러나 되는 캐나다 역사상 최대 규모의 배상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캐나다 정부에서도 이 문제로 First Nations에게 공식적으로 사과하는 등 사회적으로 굉장한 이슈였다. (우리나라의 위안부 할머니들은 언제쯤 일본에게 사과를 받을 수 있을까..)

↑ 기나긴 소송과 승리의 눈물↑ 총리까지 원주민들의 기숙학교에 대해 공식 사과를 한다


Metis의 폭동과 연방경찰 창설

원주민 중에 First Nations은 비록 불합리적이라 하더라도 이렇게 정부와 협의를 통해 여러 혜택을 받아낼 수 있었지만 Metis에게는 그 어떤 혜택도 주어지지 않았다. Metis의 1869년 Red River Rebellion으로 Manitoba에서 Province로서 자치권을 얻어낼 수 있으며, 이런 무력 폭동이 없다면 어떤 혜택도 받을 수 없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Metis들이 Manitoba에만 살고 있었던 것도 아니고 North-West Territory 거의 전 지역에서 살고 있었기 때문에 이 지역에서 비슷한 폭동이 일어났었다. 1885년에는 사스캐치원 Saskatchwan 지역에서도 비슷한 반란이 일어나기도 했다. 

↑ 기마경찰의 활동↑ Metis 폭동은 쉽게 사라지지 않고 힘든 진압의 과정을 거친다


이러한 폭동의 결과, 캐나다 연방 정부에서는 1873년 치안을 위해 North-West Mounted Police를 창설하게 되었고, 추후에 이 경찰 조직은 이름을 바꿔 Royal Canadian Mounted Police (RCMP)로서 지금까지도 캐나다를 상징하는 경찰 조직으로 활동하고 있다. 

↑ 캐나다 왕립기마경찰대의 행진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